[공동성명] 함정웅 이사장, 염색연구소 이사장직도 사퇴하라

사퇴하라

함정웅 대구패션칼라산업단지관리공단(대구염색관리공단)이사장은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이사장직도 사퇴하라

대구 섬유업계 대부로 알려진 함정웅 대구패션칼라산업단지관리공단(구 대구염색관리공단. 이하 염색공단) 이사장이 ‘국내 섬유업계와 대구염색관리공단의 발전을 위해’ 이달 말 이사장직에서 사퇴한다고 한다. 함정웅 이사장이 공단 이사장직에서 사퇴하면, 정관에 따라 염색공단 이사장이 겸직하도록 되어 있는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이사장직도 내놓아야 한다. 그러나 함정웅 이사장은 ‘업계 발전을 위해 백의종군 하겠다’고 하면서도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이사장직은 유지하고, 염색공단도 이것이 가능하도록 정관을 바꾼다고 한다.

지난해 3월 함정웅 이사장은 16년의 장기재임에 대한 염색공단 내외부의 비판과 반발, 대구광역시의 ‘장기재임 섬유단체 대표자 교체 권유’ 등에도 불구하고 3년 임기의 이사장에 재선출되었다. 그리고 염색공단 이사장이 염색공단보다 공공성이 강한 한국염색기술연구소의 이사장을 맡도록 한 기묘한 한국염색기술연구소의 정관, 비상근 이사장이 기관을 대표하는 한국염색기술연구소의 기형적인 지배체제에 대한 비판, 개정 요구를 무시하고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이사장을 맡아왔다. 이러한 함정웅 이사장의 ‘자진 사퇴’는 일면 의외로 일로 보이기도 한다.

함정웅 이사장의 ‘자진 사퇴’는 자신이 밝힌 대로 ‘염색공단의 발전을 위한 백의종군’이라는 충정의 표현이겠지만, 지난 3월 열병합발전소 연료인 석탄을 공개입찰로 매입하자는 이사회의 의견을 함정웅 이사장이 거부한데서 비롯된 염색공단 내부의 갈등과 이로 인해 촉발된 함정웅 이사장의 ‘전횡’에 대한 구성원들의 반발, 이사장직 사퇴 요구도 중요한 원인이다. 이러한 점에서 함정웅 이사장의 염색공단 이사장직 사퇴는 염색공단 구성원들에 의한 문책의 의미도 갖는다. 따라서 함정웅 이사장이 염색공단 이사장직만 사퇴하고,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이사장직을 계속 맡는 것은 비상식적이고 부당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염색공단 이사장이 한국염색기술연구소의 이사장을 겸한다는 몰상식적인 정관은 함정웅 이사장의 장기재임의 산물이다. 이 정관으로 인해 함정웅 이사장은 2001부터 9년째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이사장직도 맡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사람은 몰라도 최소한 함정웅 이사장만은 이 정관의 취지를 지켜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이사장직에서도 사퇴해야할 책임과 의무가 있다. 이는 함정웅 이사장 자신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이기도 하다.

염색공단 이사장이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이사장을 겸하도록 한 정관은 반드시 개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 개정이 한국염색기술연구소의 전문성, 독립성, 책임성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의 문책 등으로 ‘자진 사퇴’한 함정웅 이사장의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이사장직 유지를 위한 것이라면 개악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이는 함정웅 이사장을 ‘문책’한 염색공단 구성원들의 ‘의도’를 의심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사회 등 염색공단의 구성원들은 함정웅 이사장의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이사장 퇴진을 전제로 정관을 개정하여야 한다.

최근의 염색공단 구성원들의 변화, 함정웅 이사장의 ‘자진사퇴’는 지역 섬유업계의 파행, 섬유산업과 섬유업계에 대한 지역사회의 불신을 극복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그러려면 함정웅 이사장은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이사장직을 사퇴하여야 한다. 새로 선출될 이사장, 이사회 등 염색공단 구성원들은 비정상적 지배체계 구축 등 한국염색기술연구소 파행의 원인자, 책임자인 함정웅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이사장이 퇴진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한국염색기술연구소를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는 공공기관에 준하여 운영하고, 공공기관으로 지정되도록 해야 한다. 비상근 이사장이 연구소를 대표하는 기형적인 지배체계를 원장이 대표하는 체계로 개편하여 연구소의 독립성, 전문성, 공공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를 근거로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등 섬유관련 전문생산기술연구소, 관련 기업 등과의 실질적인 연계를 강화하여야 한다. 그래야 염색, 섬유관련 기업과 종사자, 염색공단,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지역경제가 산다.

 

2008년 6월 17일

대구경실련 · 대구참여연대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