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과 총선 그이후

전국의 ‘참여’와 ‘자치’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단체들간의 네트워크인 참여자치지역운동연대가 있습니다. 농담 삼아 ‘참여류’단체라고 부릅니다. 얼마 전에 집행위원회의가 있었습니다. 단연 탄핵무효운동과 총선결과에 대한 분석 논의가 중심이 되었습니다.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대구에서 활동하는 사람이나 대전, 광주, 서울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나 탄핵정국과 총선을 거치면서 느끼는 점은 비슷하게 나타나더군요. 시민운동의 능력에 대한 의견이 있었고, 2006년 지방선거에 대한 얘기가 있었고, 시민운동이 선거에 대응하는 방식에 대한 의견이 있었습니다. 특히 대구참여연대가 애처롭다는 얘기를 하더군요.

이제 총선이 끝났습니다. 선거가 끝난 직후 무수한 말들이 있었습니다. 각자가 처한 입장과 위치에서 선거결과를 분석하고 반성하고 앞날을 예측하고, 또는 비판하는 얘기가 홍수를 이뤘습니다. 대구지역의 싹쓸이와 전라도와 충청도의 그것이 동일하느니 그렇지 않느니하는 주장이 있었고, 지역주의가 부활했느니 지역주의가 무너지느니하는 논의가 있었으며, 시민운동이 탄핵무효운동을 한 것을 두고도 말이 많았습니다.

대구참여연대는 2004총선대구시민연대와 탄핵무효부패정치청산범국민행동의 결성과 활동에서 많은 역량을 배치하고 2월~4월을 보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리가 종결되지 않는 마당에 지난 몇 달간을 총정리하는 것은 무리이겠지만, 일상으로 돌아오는 즈음에 대구참여연대가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하는가를 생각해 봅니다. 전체 조직을 일상적인 업무체계로 빨리 회복시키는 것은 당연할 것이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총선 결과를 비롯하여 정치의 변화, 사회의 변화 시대에 시민운동이 어떻게 조응하고 대안을 제출하여야 하는가 일 것입니다.

지역사회가 보수적이거나 변화의 흐름과 함께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현재적 상황입니다. 그러한 상황에서 출발하는 운동기획이 필요합니다. 당장 대구사회가 곧 변할 것처럼 보이지만, 엄청난 자가당착입니다. ‘시민의 힘으로 대구를 변화시키자’는 행동 슬로건에서 변화의 출발점을 바로 이곳 ‘대구’에서 출발해여 하고 아래로부터의 운동조직화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정치사회의 변화, 진보정당인 민주노동당이 원내진출로 그동안 시민운동이 수행해 왔던 대변자적 역할에 변화가 있게 될 것입니다. 시민사회의 많은 문제들에 대해 대구참여연대가 주장한 것이 일정부분 민주노동당의 몫으로 이전될 것임은 분명합니다. 이제 시민운동은 좀 더 근본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할것입니다.

사회의 변화, 탄핵무효운동 과정에서 많은 시민들이 거리에서 직접민주주의를 행사했습니다. 이것은 시민운동의 능력이 아니라 시민스스로의 판단과 가치에 따른 행동으로서 시민운동의 역할은 그리 크지 않았습니다. 적어도 절차적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시민들의 준비는 완료상태인 것입니다. 시민운동은 시민 기본권을 더욱 확대하는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지난 몇 개월은 각자 입장을 분명히 할 것을 강요받았고 선택을 강요받았습니다. 입장과 선택의 차이를 넘어 대구참여연대를 중심으로 대구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해 힘을 모아 주십시오.

댓글 달기